이탈리아의 추리소설, '암흑의 시대'를 다시 가다

2014-08-27     세르주 쿠아드뤼파니

이탈리아에서 ‘일반’ 문학은 아직도 기억이 생생한 68혁명 이후의 시기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반면 강한 정치의식을 가진 추리소설은 대담하게 그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주제가 가진 잠재성에 비춰 봤을 때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이탈리아 추리소설은 판매나 새로움을 제시하는 능력에서 출판계의 가장 역동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프랑스 추리소설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추리소설도 다른 어느 장르보다 사회비판적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독자들은 당연히 1960년대 말부터 70년대 말까지 이탈리아 전역을 휩쓸었던 ‘혁명적, 창의적, 정치적, 존재론적 거대한 물결’(1)을 추리소설에서 만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이탈리아 언론은 68혁명 후 10년을 ‘암흑의 시대’라고 불렀다. 망각의 시대로 만들기 위해서였다.

무차별 테러에 정보기관과 권력이 관련되었고 테러를 사주한 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실행한 자들조차 대부분 처벌받지 않았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하고,(2) 극좌파에 대한 무자비한 사법 탄압을 잊어버리게 하고,(3) 무엇보다도 수천 아니 수백만의 이탈리아 국민이 10년 동안 ‘낡은 나라’에 저항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하기 위해서이다.

68혁명 후의 사회운동은 규모, 기간 그리고 강도 면에서 논란의 여지없이 2차 대전 후 가장 거대한 반자본주의 운동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니 발레스트리니와 에리 데 루카(4)의 작품을 제외하면, ‘일반’ 소설에서 이 시기의 이탈리아 사회는 찾아볼 수 없었다. 추리소설이라고 나을 것은 없었다. 무솔리니 시대의 파시즘의 잔재가 남아있는 1968년 ‘지알로(Giallo)’(5)는 여전히 하위문학 취급을 받았다. 이탈리아인은 범죄자가 될 수 없으며 나라의 현실은 소설의 주제가 될 수 없었다.

하지만 1968년 작은 변화가 감지되었다. 지오르지오 쉐르바넨코의 추리소설 <배신자들>(6)이 국제추리문학상을 받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쉐르바넨코는 밀라노 서민층의 실제 삶을 이야기로 끌어들이면서 추리소설 장르를 한 단계 발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인간의 모호성과 도덕적 딜레마를 경제적 급성장에 짓밟힌 약자에 대한 깊은 공감과 섬세하게 연결시켰다.

현대 추리소설 비평가인 루카 크로비(7)는 1968년에 출간된 쉐르바넨코의 <학살자들>을 ‘시대에 대한 비유’라고 평가하고 ‘쉐르바넨코가 당시 청년들의 고통을 그들의 시각에서 이야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저녁 수업 도중 대부분 감화원 출신인 학생들이 여자 선생님을 살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두카 람베르티 형사는 ‘이상한’ 아이와 ‘내성적인’ 아이를 집중적으로 조사했지만 이렇게 충격적인 범죄를 남자 아이가 계획할 리 없고 ‘히스테리에 걸린 여자’나 계획할 수 있는 사건이라고 생각했다. 같은 해, 노동운동 잡지인 <로소(Rosso)>(8)는 공장 노동자들의 투쟁에 관한 기사에 여성과 동성애자의 투쟁을 같이 다루었다. 한 도시에 두 개의 세계가 존재했지만 아직 만나기 전이었다.

쉐르바넨코는 볼셰비키에게 총살당한 우크라이나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났다. 그의 딸은 쉐르바넨코를 ‘19세기 지식인’이라고 묘사했다. 그리고 ‘독재체제에 깊은 혐오감을 지닌 동시에 당시 시작된 소비지상주의와 돈이 지배하는 세상에 대해서도 반감을 가진 개인주의자’라고 했다. 1968년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추리소설에 등장하는 동성애와 여성혐오 용어는 작가가 아직 당시 주류의 사고방식에 갇혀있고 추리소설 장르에 곧 불어닥칠 큰 파도를 눈치채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쉐르바넨코 이후의 작가들은 파도를 보았을까? 실제로 ‘황금의 10년’에 깊게 영향 받은 작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안드레아 카밀레리의 놀라운 성공은 오늘날 추리소설이 이탈리아 문학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가능케 하는 데 큰 몫을 했다. 그는 개인적으로 좌파원리주의(9)와 결별했으면서도 70년대의 사회상 묘사는 좌파 지도자들이 우파로 변절해서 신문사나 방송국의 사장이 되고 국회의원이 되는 기회주의를 고발하는 것으로 만족했다.(10) 물론 그것만 해도 환영받을 만한 것이었다.

로리아노 마키아벨리는 1968년에 34세였다. 당시 그는 볼로냐에서 사회운동을 하는 극단을 이끌며 논쟁적인 문제작을 많이 올렸다. 1970년대 말에는 그룹13이라는 추리문학 단체를 조직해 단체의 작가들이 정치사회적 문제를 주제로 한 작품을 써서 이탈리아 추리소설의 부흥을 주도했다. 마키아벨리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사르티 안토니오 형사는 68혁명 세대의 운동가인 로사스와 짝을 이루어 사건을 해결하는데 작가는 이를 ‘우연’이 아니라고 분명히 했다. <볼로냐를 팝니다>(11)는 1970~80년대를 배경으로 극좌파들이 공산당 소속의 볼로냐 시장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는 이야기로 평소에 냉소적이던 안토니오 형사는 그 사건을 통해 개인적인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 안토니오라는 인물은 작가 자신과 많이 닮았다. 작가도 ‘고장난 스쿠터를 타고 시위현장을 누비며 최루탄의 매운 연기도 아랑곳하지 않고 포신을 세운 탱크들을 주의 깊게 살폈다’고 당시의 자신을 묘사하기도 했다.

마시모 카를로토는 인기 있는 추리소설 작가가 되기 전에 1976년 친구를 살해한 혐의로 구속된 적이 있었다. 그가 극좌조직인 ‘로타 콘티누아’(투쟁은 계속된다)의 조직원이라는 이유로밖에 설명될 수 없을 정도로 그 사건에 대한 사법처리는 누가 봐도 가혹했다. 그는 15년 동안의 수감생활과 망명생활 후 1993년에 사면되었는데 잔혹미가 특징인 그의 소설에서 변화하는 사회상을 바라보는 작가 개인의 고통스러운 경험이 담긴 시선을 느낄 수 있다.

1969년 12월 12일 밀라노 폰타나 광장에서 폭탄이 터져 19명이 사망하고 80여 명이 부상당한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극우파와 정보기관이 연루되었다는 증거가 있었는데도 이를 무시했다(지금은 그 관련성이 밝혀졌다). 무정부주의자 쥬세페 피넬리는 조사를 받는 도중 경찰서 창문으로 뛰어내렸고 같은 무정부주의자인 무용수 피에트로 발프레다는 언론에 의해 테러를 저지른 ‘괴물’로 만들어졌다. 피넬리는 3년 동안 투옥된 후 무죄 선고를 받고 출소했다.

동지들이여, 짭새들이 왔다. 우리는 곧 죽을 것이다. 그래도 한바탕 재밌게 놀지 않았는가!

2002년 세상을 떠난 발프레다는 기자인 피에로 콜라프리코와 공저로 세 편의 추리소설을 출간했다. 안타깝게 그의 소설은 아직 프랑스어로 번역된 것이 없는데 <죽은 자의 봄>에는 불법점거, 시위, 그라피티 등 1969년 밀라노의 분위기가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그의 수감생활 경험은 이탈리아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교도소 폭동인 산비토레 폭동의 환각을 보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경찰이 폭동을 진압하려는 순간 폭동자 중 한 명이 소리를 질렀다. 68혁명 후 저항세대의 부르짖음이었다. “동지들이여, 짭새들이 왔다. 우리는 곧 죽을 것이다. 그래도 한바탕 재밌게 놀지 않았는가!”(12)

체사레 바티스티의 <마지막 총알>(13)도 전기적 성격이 강하다. 한 비행 소년이 무정부주의자 그룹과 만나 정치화되는 과정을 유쾌하면서도 절망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사상투쟁과 무장저항 활동의 실패 등 소용돌이치는 역사와 한시 앞도 내다볼 수 없는 불안한 현실을 제대로 묘사한 보기 드문 작품이다.

-당신들 몇 명이나 있어요? 아니, 우리 말이에요. 우리 그룹 말이에요.

-어떻게 알겠어? 어느 날은 두 명이었다가, 어느 날은 스무 명이었다가 또 어느 날은 십만 명이나 되지.

바티스티의 전 작품을 관통하는 증오심이 가치가 있는 것은 아직도 살아 숨쉬고 있는 68년 이후 억압된 기억과의 싸움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인용한 작가들과 다른 몇 명의 작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이탈리아 추리소설가들은 조직적인 기억상실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68혁명을 향수어린 시선으로 바라보거나 흥밋거리로 묘사했고, 혁명의 복잡한 의미와 ‘일상으로 돌아가기’가 만들어낸 고통을 외면했다. 하지만 몇몇 작가들은 주류언론이 주도한 반바티스티 운동에 반대의 목소리를 냈고 최근에는 일부 같은 사람들이지만 민주당 지도자인 왈테르 벨트로니(14)의 무책임한 발언으로 촉발된 2007년 10월 루마니아인 추방이라는 부끄러운 사건에 대해 반대 입장을 취하기도 있다. 의기양양한 베를루스코니주의에 반대하는 소수의 지식인들은 carmillaonine.com 사이트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장르문학(추리소설, 공상과학 등)과 ‘저항문화’의 공간인 그곳에서 추리소설의 사회 비판적 책임을 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판사이며 다작 작가인 50대의 지안카를로 데 카탈도는 1980년대 이탈리아 정치인들과 마피아의 유착관계를 소재로 한 <범죄소설>을 썼다. 30대의 시모네 사라소는 <국경>에서 1970년대 정치인들의 범죄행위를 다루었고 집단창작그룹 ‘우밍’은 <54>에서 현대 이탈리아가 탄생했던 때를 상기했다. 40세인 쥬세페 제나(납빛 하늘)와 지아니 비온딜로(왜 우리는 살인을 하는 걸까?)는 밀라노의 서민지역에서 보낸 어린 시절을 소설화했다. 이들 작가는 추리소설이 이탈리아의 사회적·정치적 상황을 깊이 있게 그리고 다양한 음색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암흑의 시대’와 관련해서 우리는 사회비판의 책임과 예술의 힘을 결합해 끔찍한 늙은 유령 뒤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영원한 젊음을 보여줄 작가를 아직도 기다리고 있다. 곧 그날이 올 것이라고 희망해본다.

 

글·세르주 쿠아드뤼파니 Serge Quadruppani

파리 메타이에 출판사의 이탈리아 컬렉션 책임자

번역·임명주 mydogtulip156@daum.net

 

(1) Nanni Balestrini, Primo Moroni, <L’Orda d’oro. 1968~77. La grande ondata rivouzionaria e creaiva, politica ed esistenziale> Sergio Bianchi, Feltrinelli의 감독하에 인쇄부수를 늘려가며 지속적으로 출간되고 있다. 밀라노, 2003년(가장 최근판)

(2) Valerio Evangelisti, ‘극우파와 공상과학 소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01년 10월호

(3) 70년대에 수천 명이 체포되었고 만 명이 넘게 고발되었으며, 신문과 잡지가 압류 당했고, 변호사, 기자, 교수, 지식인 등이 경찰조사를 받았다. ‘80년대: 비상사태 “대 테러 전쟁”과 재건’, 볼로냐, 1989년 여름호

(4) 1935년생인 Nani Baestrini는 이탈리아의 가장 대표적인 실험문학의 선구자이다. 전위문학 그룹인 Gruppo63과 neoavanguardia의 창시자이며 철학자 토니 네그리와 함께 노동자 자율 운동에 참여했다. 그 대가로 잠시 프랑스에서 망명생활을 하기도 했다. Erri De Luca(1950년생)는 Lotta Continua에서 활동했고 프랑스에서 책을 출간한 이탈리아 작가 중 가장 잘 알려진 작가 중 한 명이다.

(5) 범죄와 미스터리를 다룬 20세기 이탈리아 문학과 영화 장르를 가리키는 말로 특히 영화에서는 살육과 에로티즘이 특징인 공포영화를 말한다. 이탈리아어로 노란색이라는 뜻으로 저급 페이퍼백의 표지가 노란색인 데서 유래했다.

(6) 쉐르바넨코 소설의 프랑스어판은 모두 10/18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7) 이 인용문을 포함해 이후 특별한 참조 없이 인용한 문장은 작가의 인터뷰에서 발췌한 것이다.

(8) Tommaso De Lorenzis, Valerio Guizzardi, Massimilian Mita, <Avete pagato caro, non avete pago tutto. La rivista 'Rosso‘(1973~79), DeriveApprodi, 로마, 2008년

(9) “내가 잘못 본 것은 붉은 여단도 아니고 국가도 아니었다. 항상 동지들이었다. 국가는 원래부터 그랬다.”(카밀레리 인터뷰 중)

(10) <틴다리에서의 피크닉>의 첫 부분 참조. Fleuve noir, 파리, 2002년

(11) <Métailié> 2004년, Laurent Lombard 번역. 마키아벨리와 마시모 카를로토의 소설은 모두 메타이에에서 출간되었다.

(12) Piero Colaprico, Pietro Valpreda, <La Primavera dei maimorti, Il Saggiatore>, 밀라노, 2006년

(13) Cesare Battisti, <Dernières Cartouches> Joëlle Losfeld, 파리, 1998년(원제: L’Ultimo sparo, Gérard Lecas 번역)

(14) 루마니아인이 이탈리아 여성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로마 시장이 소수민족인 롬족(집시)과 루마니아인들 전체를 비난하며 롬족이 모여 사는 빈민촌을 철거했다. 이후 많은 도시에서 같은 일이 벌어졌다. 청원문인 ‘블랙 트라이앵글’을 프랑스어로 http://quadruppani.samizdat.net(2007년 12월 11일)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