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서평단신

2015-04-30     편집자

(아시아)

<현재 중국의 계급> 데이빗 S.G. 굿맨
중국의 사회 계급은 어떻게 되었을까? 연구원 출신인 저자는 그동안 흔히 다뤄지지 않던 이 문제에 대해 박학다식한 대답을 내놓는다. 이 책의 도입부는 이론적인 설명을 하고 있고 당시 정치적인 상황에 대한 마오쩌둥의 고민에 따라 계급의 개념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핵심적인 부분은 1979년에 시작된 개혁에 따라 형성된 사회 계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바로 지배 계층(정치와 경제), 중산층, 그리고 전체 인구의 85%를 차지하는 서민층이다. 저자는 공식 데이터 뿐 아니라 중국과 서구의 연구 자료를 토대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객관성이 이 책이 지닌 장점 중 하나다. 저자는 중산층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보다 수가 적다고 지적한다. 아직 중국 사회는 부가 불공평한 나라로 상층부인 부유층은 적고 가난한 서민층이 많다. 어느 정도 부를 누리고 있는 중산층이 차지하는 피라미드의 허리 부분은 아직 가는 편이다. 저자는 중국이 부의 불평등 속도가 점점 높아지고 교육을 받고 경제적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도 그만큼 줄고 있다고 설명한다.

<칼에서 펜까지> 크리스티안 세기
저자가 번역하고 분석한 책으로 에도 막부 시대 말기(1603-1867)에서 중일 전쟁 초기(1894년)까지 40여 년 넘게 다양한 생각과 운명을 가진 활동파 일본인 기자 세 명의 회고록이다. 일본은 근대화되면서 정치와 사상이 변화를 맞게 된다. 특히 사상 면에서는 서구에서 들어온 사상들이 변화를 이끈다. 사회에 영향력을 끼치는 저널리즘을 이끄는 인물들이 나타나지만 주로 하급 사무라이 출신이다. ‘관료가 될 수 없다면 기자가 되라.’ 1874년부터 도쿄의 유명 신문사 대표로 자신이 몸담는 신문사를 정부의 공식 신문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한 후쿠치 오치가 했던 말이다. 일본 최초의 당인 자유당이 1881년에 설립되는 데 기여한 <초야 신문>의 편집장 슈히로 테초는 1868년 황실 정치를 주장한 정치인들에 대해 비판을 하는 행보를 보였다. 나이가 더 젊은 토쿠토미 소호는 제2차세계대전 종전까지 일본제국의 주요 사상가 중 한 명이 되었다. 이처럼 이 책은 세 명의 저널리스트의 회고록을 해석하고 분석한 것이다.


(경제)

<파산의 비즈니스> 시프리앵 보강다
파산한 기업을 인수해 회생시켜 몸집을 불려가는 기업가들에 대한 이야기다.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프랑스에는 1백만 명이 넘는 직원들이 회사의 도산으로 일자리를 잃었다. 1970년대의 경기침체 이후 베르나르 아르노, 뱅상 볼로레, 프랑수아 피노, 베르나르 타피, 그리고 그외 부채로 파산한 기업을 인수하는 비지니스맨들은 이익이 없는 공장 문을 닫거나 매각하거나 수익이 가장 높은 주식을 매각한다. 상사법원의 암묵적 동의로 이익을 얻는 비즈니스맨들도 있다. 이 문제는 사회당의 아르노 몽트부르 의원의 보고서가 비판하기도 했지만 큰 반향을 얻지는 못했다.  가금류와 육류 업체 ‘두’와 운송 업체 ‘모리 뒤크로’의 파산은 금융 감독과 비즈니스 정의에 대한 의회의 의무를 다룬 2013년 보고서를 따르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사상)

<존재하는 것에서 사는 것까지> 프랑수아 쥘리앙
철학자이자 중국학자인 저자는 유럽 사상과 중국 사상 사이의 차이점을 설명한다.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서구의 이성과 이에 대한 중국의 접근 방식을 다룬다. 이성에 대한 서구와 중국 사상의 차이는 많이 다르다. 유럽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의 영향을 받아 ‘왜’라는 의문을 주로 하며 해답을 찾아가는 방식이다. 그러나 중국 철학은 무엇이 되는가 같은 존재를 중시한다. 이같은 차이점이 서구와 중국 철학을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 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이다.

<자본화되는 건강> 필립 바티풀리에
사회보장기금이 적자인 것은 과도한 지출 때문이 아니라 수입이 모자라기 때문이다. 수입이 모자라게 된 것은 기업들이 내야 하는 사회보장비용이 면제받는 일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경제학자인 저자는 정부가 건강 보험 지원비를 줄이기 위해 어떻게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가령 의료 부문이 민영화되면 정부는 민간 업체에게 관련 비용을 떠맡길 수 있다. 최근의 개혁으로 프리랜서 의사들의 수입이 높아졌고 제약 업체는 치료 방법 개선이라는 명목으로 정부의 지원을 교묘히 이끌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