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4월호 구매하기
"늑대의 야생성으로 자본주의에 저항해야" 화가 한정선의 개인전 '야생의 사고-두번째 이야기'
"늑대의 야생성으로 자본주의에 저항해야" 화가 한정선의 개인전 '야생의 사고-두번째 이야기'
  • 성지훈기자
  • 승인 2018.04.12 1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 12~18일 백악미술관 1층

해림 한정선 작가의 개인전 ‘야생의 사고 - 두 번째 이야기’가 오는 4월 12일(목)부터 18일(수)까지 백악미술관 1층에서 열린다.

이번 ‘야생의 사고’전(展)에서 작가는, 자본주의 사회라는 정글 속에서 하루하루 생존해 나가면서 지속적으로 마모되는, 피로하고 무기력한, 그리하여 길들여진 인간 군상을 ‘늑대의 시선’으로 우화적 표현 방식을 빌려 그려내고 있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주로 지하철 안이거나 지하철을 기다리는 벤치다. 작가에게 지하철은 사람들의 일상이 응축된 공간이다. 그 일상 속 사람들의 욕망과 좌절, 피로와 우울, 종국에는 배신 당할 것만 같은 꿈들이 부유하고 들러붙은 곳이다. 누군가가 수많은 사람들의 일상과 욕망을 자신의 의도대로 조직하거나 사육하는 거대한 힘이 작동하는 동시에, 그 힘의 결과가 노출되는 공간이 바로 작가의 지하철이다. 이 힘에 의해 사람들은 점차 가축화 된다.

‘블랙홀 : 밥의 제국’은 그 가공(可恐)할 힘을 보여준다. 지하철이 물고기 떼를 빨아들이는 듯하지만 결국에는 그 힘에 길들여진 물고기 떼들이 스스로 몰려 들어간다. “어쩔 수 없어. 삶이 원래 다 그런 거야”라고 인정하는 그 순간, 자신의 장미꽃(존엄과 가치)은 흩어지고 시들며 나사가 되어 간다. 그리고 그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은’ 존재로 전락하고야 만다. 작가는 이러한 삶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야생의 사고’를 가져야 한다는 메시지를 ‘늑대의 시선’을 빌어 전한다. 개인전 제목인 ‘야생의 사고’는 프랑스 문화인류학자인 레비-스트로스의 동명 저서에서 차용했다. 레비-스트로스에 따르면 “야생의 사고란 야만인의 사고도 아니고 미개인의 사고도 아니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재배종화되거나 가축화된 사고와도 다른 길들여지지 않은 상태의 사고다.” 작가는 이 정의를 자기화 시켜 그림 속 철학을 전달하기 위한 유용한 문구로 사용한다. 

작가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가축화되었다고 본다. 그런 사람들을 “이 세상 사물들을 비싼 값에 사고팔고 옮겨주는 일을 하면서도 주인이 주는 마른 짚을 받아먹고 달가워하는 당나귀에 다름이 아니다”라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작가의 작품에는 몇 점을 제외하고는 늑대가 늘 등장하는데, 이 늑대는 당나귀의 대척점에 있다. 작가에게 ‘늑대’는 야생적 사고의 상징적인 동물이다. 절대로 가축이 될 수 없는, 즉 길들여지지 않는 존재가 바로 ‘늑대’다. 작가의 작품에서 늑대는 “자본주의 세계의 일상성에 길들여 신성과 신화를 잃어버린 현대인의 남루한 순간들을 응시한다.” 그래서 작가는 “내 그림에서 늑대는 저항정신이며, 삶을 성찰하는 눈동자”라고 말한다.

늑대는 지하철 뿐만 아니라 옷장에서도, 거실의 책장에서도, 비좁은 고시원에서도 존재한다. 아니 어느 곳에든지 존재해야만 한다. 그럴 때 우리는 ‘25시 너머’의 세계를 상상할 수 있다. 소설가 한승원은 한정선 화가의 ‘야생의 사고-두 번째 이야기’에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평했다. “오늘날 글로벌 자본주의 정글세상 속에서 그녀의 그림은 외롭다. 그녀의 그림은 시장의 거래질서를 도발적으로 고집스럽게 외면하는, 아득한 신화 속에서 당나귀를 끌고와 지하철을 타고 다니는, 생명력 왕성한 늑대소녀의 풍경 해석하기다. 그것은 슬픈 눈으로 냉엄하게 세상 응시하기이다.”

한편 개인전 오프식은 4월 12일 오후 5시30분 백악미술관 1층에서 열릴 예정이다.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

성지훈기자
성지훈기자 info@ilemonde.com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