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3월호 구매하기
밈(meme) 열풍에 날개 단 ‘농심 새우깡’
밈(meme) 열풍에 날개 단 ‘농심 새우깡’
  • 온라인뉴스팀
  • 승인 2020.06.25 1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최근 한 달 매출 30% 증가

 

새우깡으로 1일 1깡! 

 

전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 깡 열풍’ 과 함께 농심 새우깡이 화제가 되고 있다. 농심은 최근 인기가 급상승한 새우깡이 최근 한 달간(5/24~6/23) 전년 대비 30% 성장한 70 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온라인에서 확산된 ‘ 밈(meme)’ 현상이 실제 구매로 이어진 것이다.

 

농심 관계자는 “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에는 ‘1 일1 깡’, ‘ 식후깡’ 등 해시태그와 함께 새우깡 구매 인증사진이 연일 올라오고 있으며, 유통업체에서도 새우깡 묶음 판매 등 판촉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며 “ 온ㆍ오프라인을 가리지 않는 뜨거운 인기에 힘입어 판매가 크게 늘었다” 고 말했다.

 

새우깡이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 수 있었던 것은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국민 스낵이기 때문이다. 비의 ‘ 깡’ 이 이슈가 되자 누리꾼들은 익숙하게 먹어온 새우깡을 함께 떠올렸고, 자연스레 ‘ 밈(meme)’ 의 대상이 됐다.

 

여기에 농심은 비를 광고모델로 추천하는 소비자들의 요청을 발 빠르게 수용함으로써 새우깡 열풍을 부채질했다. 농심은 ‘ 대국민 챌린지’ 를 진행하고, 선정작과 비가 어우러지는 새로운 광고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어느 때보다 뜨거운 사랑과 관심을 받고 있는 새우깡은 출시 49 년째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 국민스낵’ 이다. 1970~80 년대 새우깡을 즐겨 먹던 어린이는 이제 부모가 되어 자식과 함께 새우깡을 즐기고 있다. 새우깡은 국민스낵, 국민안주, 국민먹거리로 불리며 할아버지, 할머니부터 어린이까지 모든 세대가 즐겨 먹는 스낵이 됐다. 현재 새우깡은 연간 약 700 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스낵시장을 이끌고 있다.

 

이처럼 새우깡이 전 국민에게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즐겨 먹지만 잘 몰랐던 새우깡 매력의 비밀 세 가지를 소개한다.

 

 

 

▶ 맛의 비밀 1 ? 새우깡엔 진짜 새우가!

 

농심은 1971 년 국내 첫 스낵 개발에 나서며 맛도 좋고 칼슘도 풍부한 새우를 주재료로 결정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고소한 새우 소금구이 맛을 살리자는 게 제품의 개발 콘셉트였다. 고소하고 짭짤한 맛은 남녀노소 질리지 않고 유행도 타지 않을 것이라 내다본 것이다.

 

농심은 새우의 맛과 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제 새우를 갈아 넣는 방법을 택했다. 실제로 새우깡 한 봉지(90g) 에는 5~7cm 크기의 새우 4~5 마리가 들어간다. 새우깡 특유의 고소한 새우 풍미의 비밀이 바로 여기 있다. 농심은 이 맛을 지키기 위해 최고 품질의 새우 사용만을 고집하고 있다.

 

 

▶ 맛의 비밀 2 ? 기름에 튀기지 않고 소금에 구웠다

 

또 하나의 비밀은 새우깡을 만드는 방법에 있다. 일반적으로 과자는 기름에 튀겨 만들지만, 농심은 최적의 맛과 조직감을 살리기 위해 가열된 소금에 굽는 방법으로 새우깡을 만들었다. 기름지지 않으면서, 적당히 부풀어 올라 특유의 바삭한 조직감을 구현할 수 있었던 건 바로 이 공법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제품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린 이유도 농심이 독자적으로 이 공법을 개발하기 위해 수없이 실험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수많은 노력과 실패를 딛고 일어서 완성된 새우깡은 이후 출시된 모방제품과 차별점을 둘 수 있었다. 타사 제품들은 외형은 비슷했지만, 소금에 구워 담백하고 바삭한 새우깡 특유의 맛과 품질을 따라올 순 없었다.

 

 

 

▶ 탄생의 비밀 - 1 년을 밤새워 연구해 개발한 ‘ 국내 최초 스낵’

 

새우깡이 출시되었던 1971 년 당시 제과업체들은 비스킷과 캔디, 건빵 등을 주로 생산했고, 지금의 ‘ 스낵’ 과 같은 먹거리가 존재하지 않던 시절이었다. 농심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누구나 손쉽게 먹을 수 있는 스낵을 만든다면 성공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국내 최초로 스낵개발에 나섰다.

 

백지상태에서 개발을 시작하다 보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개발 당시 농심 연구원들은 1 년간 밤을 새워가며 연구에 몰두했다. 개발에 사용된 밀가루 양만 4.5 톤 트럭 80 여 대 분에 이를 정도였다. 1970 년대 초반 경제 상황을 감안하면 실로 엄청난 양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밀가루가 많이 들어간 이유는 새우깡의 시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튀김 온도가 적절치 않아 수도 없이 태우는 과정을 반복했고, 또 가장 먹기에 적당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실험도 수백 번이나 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심어준 ‘ 새우깡’ 이라는 브랜드명은 개발 당시 농심 신춘호 사장의 어린 딸이 ` 아리랑' 을 ` 아리깡~ 아리깡' 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힌트를 얻었다. 당시 새우스낵, 새우튀밥, 새우뻥 등 갖가지 이름이 거론되었으나 이거다 싶은 게 없었는데, 어린 딸이 잘못 발음한 ‘아리깡’에서 ‘아리’를 떼고 ‘새우’를 붙여봤더니 신기하게도 잘 어울렸다. 신춘호 사장은 새우와 깡을 결합하여 ` 새우깡' 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렇게 세상에 등장한 새우깡은 생산되기가 무섭게 팔려나갔다. 당시 서울 대방동 공장에는 물건을 가져가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트럭들로 장사진을 이루기도 했다. 첫해 생산량은 20 만 6 천 박스였지만, 그다음 해는 20 배가 넘는 425 만 박스가 생산되었다.

 

 

▶ 새 옷 갈아입은 새우깡

 

새우깡이 변함없이 사랑받는 또 다른 이유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트렌드에 발맞춰 변화해왔다는 것이다. 농심은 이번 달부터 새우깡에 새 옷을 입히며, 한층 젊은 이미지를 부여했다.

 

새로운 패키지 디자인은 새우를 의미하는 주황색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금색 배경은 그대로 유지하되, 새우깡의 핵심 아이덴티티인 새우 이미지를 더 큼직하고 먹음직스럽게 표현했다. 또한, ‘ 튀기지 않고 구워 만든 스낵’ 이란 문구를 앞면에 새겨 넣어 새우깡 특유의 담백한 맛을 강조했다.

 

이번 디자인 리뉴얼은 6 년 만에 이뤄진 것으로, 농심은 그간 10 여 차례 새우깡의 패키지 디자인의 변화를 주며 젊고 세련된 이미지를 유지해왔다. 또한, 맛도 개선하며 ‘ 더 맛있는 새우깡’ 으로 우리 곁을 지키고 있다.

 

 

 

 

 

  • 정기구독을 하시면 온라인에서 서비스하는 기사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후원 합니다.
※ 후원 전 필독사항

비공개기사에 대해 후원(결제)하시더라도 기사 전체를 읽으실 수 없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
구독 신청을 하시면 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5000원 이상 기사 후원 후 1:1 문의하기를 작성해주시면 1회에 한해 과월호를 발송해드립니다.